set up the user johndoe with permission to use any command as root via sudo by adding a line in the /etc/sudoers file with Ansible’s lineinfile module:- name: Add sudo
개요WSL2에 Vagrant를 설치하여 호스트에 설치된 virtualbox을 활용하여 VM 생성/구성/관리 가능 윈도우에는 ansible control 서버를 설치 할 수 없어 ansible provisioner를 사용할 수 없음vagrant에서 ansible/ansible_local 지원 ansible, where Ansible is
변경 이유github을 원격지로 repo로 사용할 경우 기본적으로 https로 접속하게되며 매번 ID/PWD을 입력 해야한다. ssh 접속으로 변경하면 ID/PWD 없이 가능하여 편리하다. Key 생성개인키(private key)와 공인키(public key) 생성ssh-keygen -t ed25519
개요 ssh 는 명령 옵션을 설정 파일로 만들어 관리 할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하면 옵션을 매번칠 필요도 없으며 호스트별 인증서(개인키) 사용할 수 도 있다. 설정 파일 설정 파일은 시스템 전역 파일(/etc/
시작오랫만에 오픈소스를 활용한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어 윈도우 터미널을 재사용하게 되면서 참고한 '서비큐라 기술 블로그' 의 내용도 좋고 선호하는 디자인이라. 4년전에 몇달 쓰다가 그만둔 github 블로그를 정비하여 기술 전용 블로그로 만들기로 함(얼마나 갈지?